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2

국내 노인 만성질환 현황 생활습관병, 만성질환, 성인병 생활습관병(生活習慣病, Life style disease), 만성질환(慢性疾患, Chronic disease) 성인병(成人病, adult disease, lifestyle disease)이란 말은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네이버 사전에서 각 용어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으며, 지칭하는 것과 의미가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같은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생활습관병 : 운동 습관, 식습관, 음주, 흡연 따위의 생활 습관에 영향을 받아 생기는 병*만성질환 : 증상이 그다지 심하지는 아니하면서 오래 끌고 잘 낫지 아니하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성인병 : 중년 이후에 문제 되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동맥경화증, 고혈압, 악성종양, 당뇨병, 백내장, 심근 경색, 폐.. 2022. 9. 15.
우리나라 기대여명, 기대수명, 건강수명 기대여명 건강 상태는 기본적으로 사망과 질병 수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사망 수준은 인구의 수명에 영향을 준다. 사망수준이 낮아지면 인구의 수명이 늘어난다. 기대수명이나 영아사망률은 인구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로 볼 수 있다.  0세의 특정 연도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연수이며, 평균수명이라고도 한다.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래 살 것인지를 나타내며, 연령별 사망률 통계로 산출한다(통계청, 생명표 2021).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20년 83.5세로 50년 동안 21세가 늘어났다. 기대수명은 남성보다 여성이 길다. 2020년 기준 남성의 기대수명은 80.5세이며, 여성은 86.5세로 6년이 더 길다. 2010년을 전후로 우리나라 기.. 2022. 9. 14.
노화와 운동 1964년 세계에서 가장 빨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프랑스는 115년, 스웨덴은 85년, 아시아에선 일본이 24년으로 서양에 비해 비교적 짧은 기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기까지 단 19년이 걸렸다. 이는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노인 인구의 증가는 생활습관병과 같은 각종 질병의 증가와 직결되는데, 많은 연구기관에서 ‘수명 연장’보다 ‘건강 기간의 연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초고령사회의 도래에 직전에 있는 우리나라는 증가하고 있는 노인들의 의료비 부담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노인이 가능한 한 신체적 자립을 통해서 질 높은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인간은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신체기능이 퇴화하며, .. 2022. 9. 14.
미국 실버 시장 현황 세계 1위 실버시장 미국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20년 기준 7억 명에서 약 30년 후인 2050년에는 15억 명으로 2배 넘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단일시장으로는 최대 시장인 미국은 2025년에 실버시장의 규모가 약 3.5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대규모 인구 집단인 1946년~1965년생인 8천만 명의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를 시작으로 미국 사회도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며, 2017년에는 은퇴 인구 규모가 사상 최초로 5000만 명을 넘어섰으며, 하루 평균 1만 명이 본격적인 은퇴 연령이 되어, 2030년에는 모두 고령층으로 진입한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 등 과거 노년층에 비해.. 2022. 9. 13.
반응형